LIM Center, Aleje Jerozolimskie 65/79, 00-697 Warsaw, Poland
+48 (22) 364 58 00

3I/아틀라스: 사상 가장 빠른 성간 혜성—과학자들의 의견은?

3I/아틀라스: 사상 가장 빠른 성간 혜성—과학자들의 의견은?

3I/ATLAS: The Fastest Interstellar Comet Ever—Here’s What Scientists Are Saying

새롭게 확인된 혜성 3I/ATLAS (C/2025 N1)은 1I/ʻOumuamua(2017), 2I/Borisov(2019)에 이어 세 번째로 확인된 성간 천체입니다. 2025년 7월 1일, NASA가 지원하는 칠레 ATLAS 망원경에 의해 발견된 이 혜성은 매우 쌍곡선 경로를 따라 태양계를 시속 약 68km로 질주하고 있으며, 2025년 10월 29일 화성 궤도 바로 안쪽에서 근일점을 통과할 예정입니다. 지구에는 위협이 되지 않습니다. 초기 이미지에서 희미한 코마와 짧은 꼬리가 관측되어 혜성 활동이 확인됐습니다. 3I/ATLAS는 태양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점(4.5천문단위)에서 근일점 수개월 전에 탐지되었기 때문에, 천문학자들은 성간 혜성의 조성, 자전, 크기를 전례 없이 관측할 기회를 갖게 되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발견이 베라 C. 루빈 천문대와 같은 차세대 관측 조사가 전면적으로 시작되면서 앞으로 성간 천체 발견이 급증할 것임을 예고한다고 말합니다.


1. 발견, 명명 및 첫 관측

  • 탐지. 2025년 7월 1일 ATLAS–CHL 망원경 이미지에서 은하수의 조밀한 별 배경을 배경으로 등급 18의 천체가 움직이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자동 궤도 분석 결과 이심률이 5를 초과해 성간 궤적임이 확인되었습니다 science.nasa.govhawaii.edu.
  • 신속한 확인. ZTF 및 다른 ATLAS 관측소의 보관 자료를 통해 이 천체가 2025년 6월 14일까지 거슬러 올라가 관측된 것이 확인되어, 관측 기간이 18일로 연장되었습니다 science.nasa.gov.
  • 공식 명명. 소행성 센터는 MPEC 2025‑N12를 발행하며, 혜성 활동과 성간 기원이 확인된 후 C/2025 N1 (ATLAS)3I/ATLAS라는 명칭을 부여했습니다 minorplanetcenter.net.
  • 첫 이미지. Gianluca Masi의 Virtual Telescope Project와 David Rankin의 Deep Random Survey는 별과 같은 핵과 매우 짧은 3″ 꼬리가 보이는 CCD 합성 영상을 공개했습니다 livescience.comspace.com.

“성간 천체를 포착하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며, 우리 하와이 대학교가 운영하는 시스템이 이를 포착했다는 사실이 정말 흥미롭습니다.” — John Tonry, 하와이 대학교 천문연구소 hawaii.edu


2. 궤도, 속도 및 성간 증거

매개변수값 (±1 σ)의미
이심률 (e)5.8 ± 0.2속박되지 않은 쌍곡선
경사각 (i)175 °역행, 거의 극궤도
쌍곡선 초과 속도 (v∞)57 km s⁻¹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빠른 ISO
근일점 거리 (q)1.36 au화성 궤도 안쪽
근일점 날짜2025년 10월 29일우수한 관측 기하학

매우 높은 e와 v∞는 태양계 내의 행성 산란으로는 생성될 수 없으므로, 태양의 중력권을 벗어난 기원을 입증합니다 en.wikipedia.orgen.wikipedia.org. ATLAS는 궁수자리 방향에서 태양의 정점 근처에서 도착하고 있으며, 이는 대부분의 유입 성간 천체(ISO)가 어디서 나타날지 예측하는 역학 모델과 일치합니다 arxiv.org.

“그 궤도를 보면 태양에 중력적으로 묶일 수 없을 정도로 너무 빨리 움직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아마도 성간 천체일 것입니다.” — Larry Denneau, ATLAS 공동 책임자 washingtonpost.com


3. 물리적 특성

  • 활동성. MPC에 의해 미약한 코마와 3″의 꼬리가 보고되었으며, 이는 드러난 소행성이 아니라 혜성의 탈기 현상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space.comtheguardian.com.
  • 크기. 최초 절대등급(H ≈ 14.8) 추정치로는 약 20 km 소행성에 해당하지만, 코마 기여분을 제거하면 핵은 수백 미터에서 ~1 km 정도로 보입니다 theguardian.comabc.net.au.
  • 밝기 변화. 모델에 따르면 근일점 부근에서 최대 시각 등급 12–13이 예상됩니다. 이는 맨눈으로는 볼 수 없지만, 특히 화성 궤도에서는 0.4 au를 통과할 때 중급 아마추어 망원경으로 관측이 가능합니다 livescience.comspace.com.
  • 조성 전망. 혜성이 진입 중이기 때문에, JWST, ALMA, 그리고 대형 지상 망원경을 활용해 태양열이 표면을 변형시키기 전 순수한 상태의 얼음에 대한 근적외선 분광 관측이 시도될 수 있습니다.

“밝기 기준으로 볼 때 … 고체 핵의 크기가 더 작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콜린 스너드그래스 교수, 에든버러 대학교 theguardian.com


4. ʻOumuamua 및 보리소프와의 비교

특징1I/ʻOumuamua2I/보리소프3I/ATLAS
발견 거리0.25 au (근일점 이후)3 au4.5 au
성격소행성?혜성혜성
v∞ (km s⁻¹)263257
최대 등급20→281512–13 (예측)
근일점 전 리드 타임–40 일225 일120 일

ATLAS는 지금까지 발견된 ISO 중 가장 빠르며, 가장 일찍 발견된 천체여서 과학자들에게 이전 선례들보다 훨씬 더 오랜 기간 동안 심층 관측 계획을 세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thetimes.co.ukuniversetoday.com.

“우리가 본 세 개의 성간 천체 중 이 천체가 단연코 가장 빠릅니다.” — 존티 호너 교수, 서던퀸즐랜드 대학교 abc.net.au


5. 전 세계 관측 캠페인

단계날짜 (2025‑26)최고의 관측 시설목표
근일점 접근 (4.5 → 1.8 au)2025년 7월–9월JWST, VLT, 켁 망원경, 루빈 (LSST)원시 휘발성 물질과 먼지 생성 측정
태양과의 합2025년 10월–11월태양 관측소, 화성 궤도선근일점 근처 열 반응, 코마 진화 관측
원일점 이동 (1.4 → 5 au)2025년 12월–2026년 3월HST, ALMA, 대형 아마추어 네트워크자전 상태, 휘도 곡선을 통한 핵 크기
긴 꼬리2026‑27년라디오 배열불휘발성 분자 및 동위원소 탐색

실시간 웹캐스트가 이미 진행 중이며, Virtual Telescope Project는 이탈리아에서 매일 밤 추적 영상을 스트리밍합니다 livescience.comspace.com. 화성 정찰 궤도선은 2025년 10월 3일 0.2 au 접근 시 이미징을 시도할 수도 있습니다 washingtonpost.com. NASA의 CNEOS는 전 세계 전문 및 아마추어 관측소에 천체력 정보를 배포했습니다.

“이번에는 망원경을 더 많이 사용할 시간이 있습니다. 무엇으로 이루어졌는지 알아보기 위해서죠.” — Larry Denneauwashingtonpost.com


6. 3I/ATLAS가 중요한 이유

  1. 은하계 샘플링. 각 ISO는 다른 행성계에서 온 “무료 샘플 반환 임무”입니다. 분광학을 통해 그 자리에서 측정이 불가능한 동위원소 비율, 휘발성 화학 성분, 먼지 광물학을 밝혀낼 수 있습니다 iowapublicradio.org.
  2. 개체군 통계. 8년간 세 번의 발견은 우리 은하계가 ∼10⁶ ISO au⁻³만큼 풍부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루빈 망원경은 매년 여러 개를 발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abc.net.auiowapublicradio.org.
  3. 행성 방어 맥락. ISO 유입량을 알면 충돌 위험 평가를 정밀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빠른 천체가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은 거의 없지만, 극도의 운동 에너지는 일반적인 소행성 위협을 훨씬 능가합니다 hawaii.edu.
  4. 임무 계획. 3I/ATLAS의 조기 발견은 신속 대응이 가능한 “성간 요격기” 우주선에 대한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켰으며, 이 개념은 이전에 ESA, NASA, 영국 우주국에서 연구되었습니다 iowapublicradio.org.

“마치 우리 은하의 다른 곳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무작위로 샘플링할 기회를 얻은 것과 같습니다.” — 크리스 린톳 교수, 옥스퍼드 대학교 iowapublicradio.org


7. 전망

현재 밝기 예측이 맞다면, 3I/ATLAS는 7월과 8월 내내 아마추어 천문대에서 손쉽게 CCD 관측 대상으로 삼을 수 있으며, 10월에는 태양 뒤로 사라졌다가 12월에 약 15등급 밝기로 다시 나타나게 됩니다. 아마추어들의 기여—특히 회전 연구를 위한 연속 광도 측정—는 희귀 휘발성 물질을 찾는 주력급 망원경의 관측을 보완할 것입니다.

마크 노리스 박사가 이 흥분을 이렇게 요약합니다:

“우리가 발견한 세 번째로 알려진 성간 천체로, 이런 성간 방랑자들이 우리 은하에 비교적 흔하다는 추가 증거를 제공합니다.” theguardian.com

현재 경로를 따라가면 3I/ATLAS는 2027년 중반에 태양계를 영원히 벗어나겠지만, 이 우연히 방문한 천체의 과학적 유산은—얻는 데이터와 다음, 그리고 반드시 더 이른, 성간 조우를 준비하도록 천문학자들에게 주는 동기 부여에서—계속해서 남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