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년 아제르바이잔에서 최초 인터넷 연결이 이루어졌고, 1996년 대중이 인터넷을 이용하기 시작했습니다. 2002년 ISP 인허가 요건이 폐지되며 시장이 자유화되었고, 2009년 세 번째 GSM 사업자 면허 발급으로 3G 서비스가 도입되었습니다. 2010년 ITU 자료에 따르면 인터넷 이용자는 약 37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약 44%에 달했습니다. 2013년경 공식 발표로 인구의 약 85%가 인터넷을 사용한다고 했으나 이는 다소 낙관적 수치였습니다.…
Read more
오스트리아의 “디지털 아우토반”은 광섬유, 업그레이드 DSL, 케이블, 4G/5G, 위성 인터넷까지 아우르는 전국 초고속 연결망 확장을 가리킨다. 광섬유 가능 회선은 약 190만 세대이나 2025년 현재 실제 가입은 317,000건으로 약 17%의 활용률에 그친다. 빈에는 광섬유 준비 회선이 75만 개 이상 설치되어 있지만 부르겐란트는 약 17,500회선에 불과해 농촌 격차가 뚜렷하다. 4G 커버리지는 인구의 99%를 포괄하고, 5G는 2023년 기준…
Read more
1991년 독립 이후 ArmenTel이 전화와 인터넷에 대해 법적 독점을 가졌고, 1998년에 이 독점이 허가되어 경쟁 진입이 차단되었다. 2005–2007년경 ArmenTel의 독점권이 사실상 종료되며 신규 ISP 및 모바일 사업자 진입이 허용되었다. Public Services Regulatory Commission(PSRC)가 설립되었고 2013년 전자통신법 개정으로 기존 ISP 인허가제가 폐지되어 간단한 PSRC 신고만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경쟁 촉진 정책으로 2022년까지 200개…
Read more
앙골라의 인구 약 3,700만 명 중 2025년 초 인터넷 사용자는 약 1,720만 명으로 보급률은 44.8%에 이른다. 도시 인구 비중은 약 69%이며, 인터넷 이용자의 다수는 루안다 등 대도시에 집중되어 있어 농촌과의 격차가 커졌다. 2,870만 개의 모바일 SIM 연결이 활성화되어 인구의 74.6%에 해당한다. 3대 이동통신사업자는 Unitel(2001년 출범)이 시장을 선도하고 Africell은 2022년 진입했으며, Movicel은 6–7%의 점유율로 뒤를 이었다(2023년…
Read more
안도라는 전국을 FTTH(광섬유)로 커버하도록 광섬유 포설을 2012년에 완료했고, 2016년에 기존 구리선(ADSL)을 완전히 철거했다. 안도라는 세계 최초로 광섬유 기반 인터넷을 ‘보편적 서비스’로 천명한 나라 중 하나이며, 모든 거주구역에서 월 기본 요금으로 최소 100Mbps를 보장한다. Andorra Telecom이 유선 광대역, 모바일, 전화, TV를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유일한 ISP이며, 경쟁이 없다. 안도라는 스페인·프랑스와의 광섬유 국제선으로 세계 인터넷 망과 연결되며 이중화로…
Read more
2024년 초 알제리의 인터넷 사용자는 약 3,35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약 72.9%를 차지합니다. 2025년 1월 기준 인터넷 보급률은 약 76.9%에 도달했습니다. 약 1/4의 알제리 인구가 아직 오프라인 상태로 남아 있습니다. 2024년 모바일 가입은 5,000만 건을 넘었습니다. 2023년 고정 광대역 가입자는 512만 명으로 2020년 350만 명에서 크게 증가했습니다. 2023년 고정 광대역 보급률은 인구 100명당 12.0건이었습니다. Algérie…
Read more
2023년 기준 알바니아 16–74세 인구의 83%가 정기적으로 인터넷을 사용하고, 가구의 약 96.7%가 어떤 형태로든 인터넷에 접속합니다. 2023년 초 고정식 브로드밴드 가구 접속 비율은 90.4%에 달했고, 광섬유 도입으로 DSL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습니다. 2023년 초 알바니아의 평균 고정 다운로드 속도는 약 44.6Mbps로 1년 전 대비 42% 상승했습니다. Shkodër의 2023년 4분기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70Mbps에 이릅니다. 모바일 부문에서는…
Read more
에티오피아의 인터넷 이용자는 2025년 초 약 2,860만 명으로 인구의 약 21.3%를 차지한다. 광섬유 백본은 2023년 기준 약 23,000km를 보유하며 도시를 연결하고 국제 인터넷 연결을 뒷받침한다. 지부티를 거치는 해저케이블과 함께 호라이즌 파이버 코리도어가 2024년 말 체결되어 에티오피아-지부티-수단 간 용량과 회복력을 대폭 강화했다. 가정용 유선 광대역 가입자는 2023년 약 669,000명이고, 평균 월 요금은 약 27달러이다. 에티오피아의 모바일…
Read more
SEAS 해저 케이블은 2010년대 초 세이셸을 탄자니아와 연결하며 위성 의존 시대를 끝냈다. 2021년 8월 Intelvision은 Vodafone가 건설 중인 2Africa 해저 케이블 지선을 임차 지원해 600Gbps의 국제 대역폭과 이중화를 확보했다. Cable & Wireless Seychelles(CWS)는 2017년부터 전국 FTTH 확장에 착수해 2020년까지 구리선을 광섬유로 교체한다는 목표를 제시했고 현재 마헤, 프랄랭, 라디그의 내륙까지 광인터넷이 확장됐다. 2024년 말 CWS는 아프리카…
Read more
2024년 초 기준 멕시코의 인터넷 이용자는 1억 700만 명으로 인구의 83%에 이른다. 고정 브로드밴드의 주력 기술은 FTTH로 약 70%를 차지하고, Telmex의 브로드밴드 고객의 약 85%가 광통신으로 전환했으며 Totalplay는 100% 광통신망으로 기가비트를 제공한다. Red Compartida 네트워크는 2018년 Altán Redes가 700 MHz 대역에서 구축했고, 2024년 6월 기준 인구의 95.3%를 커버해 목표 92.2%를 상회했다. CFE TEIT는 2022년 신설되어…
Read more